방법과 과정

큰글자 부리체 
기초 연구


1. 
큰글자 부리체의
기초적인 가독성, 판독성, 심미성 연구


모바일 화면에서 큰글자 부리체가 사용되는 예시나 선행 연구가 없었기에, 큰글자 활용을 연구하기 전 큰글자 부리체에 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기초적인 심미성과 가독성, 판독성을 갖춘 부리체 큰글자의 글자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글자 굵기와 글자크기, 자간, 행간을 달리한 총 3,150개의 큰글자 부리체 문장 실험세트를 제작하였다.

일차적으로 연구자 3인이 실험세트 전체를 평가하여 최소한의 가독성과 판독성, 심미성 기준에 부합하는 192개의 실험세트로 추려냈다. 이후, 예비 디자이너 20인에게 하여금 이 세트의 심미성을 추가 평가하게 하였다.




2. 
큰글자 부리체의 
사용성과 심미적 활용 
가능성 연구


앞선 평가 과정에서 도출한 심미적 글자 속성을 기본적인 모바일 컴포넌트에 적용하여 새로운 실험세트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컴포넌트에 적용된 큰글자 부리체의 가독성, 판독성, 심미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큰글자 부리체의 심미적 및 기능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큰글자 부리체 
기초 연구


1. 
큰글자 민부리체의 
기초적인 가독성, 판독성, 심미성 연구


큰글자를 모바일 환경에 적용하기에 앞서, 서체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와 사용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부리체뿐만 아니라 큰글자 민부리체에 대한 기초 연구를 추가로 진행하였다.

연구자 3인이 우선적으로 글자 굵기, 글자 크기, 자간, 행간이 다른 총 4,050개의 큰글자 민부리체 문장 실험 세트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222개의 실험 세트로 추려냈다.

이후 예비 디자이너 20인이 심미성을 추가로 평가하여, 기초적인 가독성, 판독성, 그리고 심미성이 확보된 큰글자 민부리체의 속성을 도출하였다.

민부리체는 부리체와 달리 이미 모바일 컴포넌트에 적용된 사례가 많아, 기초 연구 단계에서는 모바일 컴포넌트 실험세트를 별도로 실험하지 않았다.




2. 
모바일 환경에서의
큰글자 사용성과 선호도 비교 연구



모바일 시각환경에서 큰글자의 사용성과 심미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리체와 민부리체를 각각 대표적인 모바일 컴포넌트(카드, 리스트, 알림 등)에 적용하여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28개의 큰글자 부리체와 민부리체를 활용해 제작된 91개의 모바일 화면 실험 세트를 기반으로 일반인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큰글자가 모바일 환경에 적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분석하여 본 큰글자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이 연구는 큰글자의 모바일 화면 적용 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심미성과 가독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2024.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졸업전시. 임이솔, 하은지, 황민영 All rights reserved.                        @Hongik University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aduation Show 2024. Lim Leesol, Ha Eunji, Hwang Minyoung All rights Reserved.